분류 전체보기61 노화와 관련된 질병,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 (1) 1. 인간 뇌에세의 노화성 질병들 :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 인간 뇌에서의 노화성 질병들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 인간의 다른 기관계에 대해서 과학자들이 알고 있는 것들에 비해, 인간의 뇌가 어떻게 자신의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주 기초적인 것만 이해를 하고 있다. 우리는 노화가 어떻게 뇌 기능에 영향을 주는지는 더욱 잘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인간의 뇌는 상당한 수준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고 성인기의 대부분 동안에 작은 구조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변화가 나타났다고 보고된 경우에도, 노화성 기능이상의 정도는 개인에 따라 변이가 상당히 많다. 더욱이 노화성 기능 상실이 발생하는 뇌의 해부학적 위치도 개인에 따라 매우 다르다. 이로 인해 인간 뇌에서 노화에 따른 기능 상실.. 2025. 2. 18. 인간의 노화와 관련된 질병. 신경계 " 매년 반복되는 생일을 위한 치료법은 없다" - 존 글렌 [JOHN GLENN ( 1921 ~), 우주비행사, 전 미국상원의원 우리는 노화와 질병 사이의 차이점에 대해 어느 정도 자세히 논의 했다. 질병은 세포의 물리적 그리고 생화학적 기능을 와해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반면에, 생물학적 노화는 정상적인 세포의 기능 범위 안에서 발생하는 것이라는 것을 상기하라. 노화와 질병의 차이를 정의하는 것은 노화 생물 학에서 논의되는 용어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고 실험적 연구를 위한 경계를 확립하는 것을 도와준다. 그러나 이 책에서 정상적인 노화성 기능 손실과 명 확한 질병 사이에 그어놓은 엄격한 경계가 노인들의 실제적 세상에서는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는다. 대부분 질병의 발생은 노화에 따라 증가한다. 이 사실은 .. 2025. 2. 14. 생식기 생식계의 변화 1. 생식기 생식계의 변화 인간 생식의 노화는 역사적으로 여성의 노화와 관련되어 왔고, 이것은 세가지 중요한 변화로 나타난다. 첫째, 여성의 경우, 일반적으로 50~60대에 나 타나는 월경의 중단과 폐경의 시작으로 생식능력이 다소 갑작스럽게 끝난다. 둘째, 난소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트론과 같은 여성 호르몬의 생산은 폐경기에 급격하게 낮아진다. 셋째, 노화에 따른 난자의 유전학적 품질의 저하는 유전적으로 손상된 태아 발생, 선천적 장애 발생, 그리고, 자연유산의 발생 확률을 높인다. 여성 생식 기간의 끝 또한 다른 노화성 생리학적 이상과 연관되어 있다. 남성은 갑작스런 생식능력 중단을 경험하지 않는다. 이런 결과는 남성은 임신 능력 저하를 경험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종종 잘못 해석되어 왔다.. 2025. 2. 14. 면역계의 변화 1. 면역계의 변화 노인생물학에서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한 로이 왈포드 ( Roy Walford ; 1924 ~ 2004 ) 는 40여년 전에 면역계의 퇴화가 정상적인 노화를 발생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노화의 면역학적 이론으로 알려진 이 제안은 아직까지 완전하게 점검되지 않고 있으나, 우리는 감염병들에 의한 사망률이 젊은 세대에서 보다 65세 이상의 노인들에서 3에서 4배 정도 높다는 것을 알고 있다. 더욱이 65세 이상의 사람들에서 새로운 독감바이러스 예방접종에 의해 보호되는 사람들의 비율이 젊은 사람들에 비해 대략 반 정도로 나타났다. 명확하게 노화는 인간 면역계의 효능성을 나쁘게 한다. 이 절에서는, 면역계의 생리학에 대해 살펴보고 노화가 어떻게 잠재적으로 해로운 침입자의 공격을 물리칠 수 .. 2025. 2. 14. 비뇨기계의 변화 1. 비뇨기계의 변화 비뇨기계는 두 개의 신장, 두 개의 요관 ( ureter ), 방광 ( bladder ), 그리고 요도 ( urethra ) 로 구성된다. 신장을 제외하고, 오줌의 배출을 방해하는 심각한 노화성 변화가 이 기관계에는 없다. 배뇨의 조절 이상인 노화성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은 비정상적인 근육의 약화, 방광의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에 영향을 주는 질병, 그리고 신장에 의한 과도한 오줌 생산 등의 결 과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신장의 노화에 따른 변화에 집중하도록 한다. 먼저 정상적인 신장의 기능을 알아 보는 것으로 시작한다. 1) 신장은 혈액에서 대사 폐기물을 제거한다. 모든 인간 세포는 대사 폐기물을 혈액으로 내보낸다. 이 폐기물들은 제거되어야 하며,.. 2025. 2. 11. 소화계의 변화 1. 소화계의 변화 사람의 소화계 혹은 위장관계는 입에서부터 항문까지 하나의 길고 연결된 관처럼 되어 있다. 소화계의 유일한 목적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음식에서 에너지와 영양분을 뽑아내고 흡수되지 않는 고형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모든 다세포 생명체는 기본 구조가 인간과 크게 차이가 없는 소화관을 가지고 있다. 지렁이와 인간에서 소화관의 차이는 인간은 소화과정을 도 와주는 추가적인 기관과 기관계 - 간, 췌장, 면역계, 그리고 신경조절 등가 있다는 것이다. 이런 추가적인 기관들은 다른 생물종 보다 훨씬 더 다양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한다. 사실, 다양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능력이 인간이 성공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라고 주장할 수 있다. 인간은 지구의 어느 곳에서나 생존하고 .. 2025. 2. 11.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